비트코인으로 대화를 시작하기 보다는 비트코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첫 번째 단계는 현재 시스템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는것 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미 인플레이션, 비정상적인 금융시장, 부동산폭등을 몸소 체험하면서 Fiat(정부발행화폐)에 문제가 있다는 걸 알고 있죠.

왜 무분별한 통화정책이 위와같은 부작용을 야기하는가?라는 주제로 대화를 시작하는건 하나의 방법입니다.
사람들은 누군가에게 이레라 저레라 얘기듣는걸 싫어하죠.

결론은 금이 될수도 아니면 비트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명심해야하는건 스스로 결론에 도달수 있도록 우리는 도움을 제공해야합니다.
스스로 도달한 결론은 주입된 결론보다 강합니다.

신념을 가진 비트코이너들이 많아질 수록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컨센서스는 강해집니다.

• • •

Missing some Tweet in this thread? You can try to force a refresh
 

Keep Current with SG Lee(= SK Lee)

SG Lee(= SK Lee) Profile picture

Stay in touch and get notified when new unrolls are available from this author!

Read all threads

This Thread may be Removed Anytime!

PDF

Twitter may remove this content at anytime! Save it as PDF for later use!

Try unrolling a thread yourself!

how to unroll video
  1. Follow @ThreadReaderApp to mention us!

  2. From a Twitter thread mention us with a keyword "unroll"
@threadreaderapp unroll

Practice here first or read more on our help page!

More from @SKLee_KR

29 Nov
1/
비트코인 거시경제 스타 Lyn Alden이 얘기하는 연준의 향후 금리정책에 대한 예상을 쉽게 풀어봤습니다.
👇

1.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1970년대 보다 1940대에 가깝다. (파란선: 인플레이션, 빨간선: 미국 단기국채이자)

*단기국채이자가 높을수록 미국정부의 이자부담이 높아짐 Image
2/
40년대와 70년대의 차이점

1. GDP대비 부채율:
'40년대 100%수준
'70년대 30~40%수준

부채율이 높은 상황에서 단기국채이자가 상승 시 이자부담이 크게 증가함.(미국은 영끌 대출상황임)

현재 미국의 부채율은 130% 수준으로 세계 2차대전으로 정부지출이 급격하게 늘어난 40년대보다 높음 Image
3/
기준금리를 올라가면 단기국채이자가 올라감.
따라서 '70년대 연준의장 Paul Volcker 처럼 기준금리를 확 못올림. 올리면 이자부담이 너무 커져서 재정감당이 안됨(연준 손발묶임)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사회이슈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적 압력에 의해서 약간의 금리올리기는 보여줘야함
Read 7 tweets

Did Thread Reader help you today?

Support us! We are indie developers!


This site is made by just two indie developers on a laptop doing marketing, support and development! Read more about the story.

Become a Premium Member ($3/month or $30/year) and get exclusive features!

Become Premium

Too expensive? Make a small donation by buying us coffee ($5) or help with server cost ($10)

Donate via Paypal

Thank you for your support!

Follow Us on Twit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