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er of things | prev. @DeSpreadTeam surfing the kali yuga
2 subscribers
Nov 19, 2023 • 20 tweets • 5 min read
오픈AI를 둘러싼 사건의 전개를 이해하고 싶다면 배워보자.
오늘의 단어: Decel
1) 오픈AI의 CEO 샘 알트먼의 해고 소식에 많은 이들이 ‘감속주의자’와 ‘안전주의자’들에게 거센 비판을 쏟아내고 있음 2) 왜냐하면 최대한 빠르게 AGI를 구현해 내려는 샘 알트먼과 달리, 오픈AI의 이사회의 과반수는 AGI의 등장을 늦추고 최대한 안전하게 하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
Mar 24, 2023 • 13 tweets • 4 min read
SVB 사태 이후에 비트코인이 떡상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저는 이 현상을 보면서 곧 2024년 5월에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가 뭔가 다를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먼저, 비트코인에 대한 내러티브가 굉장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발라지 스리니바산은 비트코인이 90일 안에 100만 달러를 찍으 것이라는 내기도 했습니다.
그 배경에는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중소형 은행 파산 위기, 그리고 이를 무마하기 위한 유동성 공급이 있습니다.
Mar 22, 2023 • 6 tweets • 2 min read
DAO 법인화의 모순
스시스왑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소환장을 받았다는 소식이 파다합니다.
그런데 애초에 이렇게 SEC가 스시다오에게 소환장을 날릴 수 있었던 이유에는 다오의 법인화에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22년 10월, 스시다오는 스냅샷을 통해 케이먼 아일랜드와 파나마에 각각 재단과 법인을 두는 제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당시에 스시다오는 “공헌자와 다오에게 돌아가는 책임을 줄이기 위해" 이러한 법인을 설립하고자 했습니다.
Dec 31, 2022 • 21 tweets • 6 min read
한국 유튜브와 트위터를 보면 앤드류 테이트를 후빨하는 사람들이 참 많다.
어째서 이 사람을 후빨하는 걸까? 이 사회는 왜 이런 사람을 추앙하게 되는 것일까?
먼저 앤드류 테이트가 누군지 모르는 사람들 위한 간단한 소개:
전직 킥복싱 챔피언이자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라고 하는 것이 걸맞을 것 같다.
부가티 베이론을 비롯한 수 많은 초고급 자동차 컬렉션을 자랑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Oct 24, 2022 • 4 tweets • 1 min read
레딧 NFT 폭발함.
거래량도 떡상
Oct 23, 2022 • 16 tweets • 5 min read
최근에 여기서저기서 레딧 NFT에 관한 이야기를 봤을 것이다.
그런데 레딧 NFT는 정확히 뭐고, 어떻게 오픈씨보다 더 많은 지갑 수를 확보할 수 있었을까?
데이터를 살펴보며 레딧 NFT에 대해서 알아보자. 🧵
먼저, 레딧이라는 사이트가 생소한 사람들이 있을 수도 있다.
초단순하게 비유하자면 미국판 디씨인사이드 같은 사이트다.
다만 인터페이스가 디씨보다 한 1만배 낫고 일일활성유저가(DAU)가 약 5천 2백만 명이다.
레딧은 인터넷에서 가장 큰 서브컬쳐 포럼들이 모인 곳이다.
Jul 9, 2022 • 28 tweets • 5 min read
스탠포드대에서 정치경제 및 정치학을 연구하는 앤드류 홀 박사는 a16z의 포터 스미스와 함께 웹3 기업들이 인류가 쌓아올린 거버넌스(통치체계)에서 답습할 수 있는 점들에 대한 글을 씀.
🧵
그는 웹3 기업들이 너무 직접 민주제에 의존하고 있다고 함.
직접 민주제는 참여도가 낮고 관리감독이 어렵다는 점 등을 꼽으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들을 구체화함.
선요약 👇
Jul 8, 2022 • 6 tweets • 2 min read
온체인 수사 업체 아캄(Arkham)의 셀시우스 분석 결과
1. 약 5.3억 달러를 자산운용 매니저에게 맡기고 고위험 투자 전략을 사용함.
2. 이에 약 3.5억 달러를 잃음.
3. 이 자산운용 매니저는 오늘 블룸버그에도 소개된 @0x_b1. 본명 제이슨 스톤은 키파이(KeyFi)의 창립자로 셀시우스에게 인수되고 나서 디파이 스테이킹 최고책임자(Head of Defi Staking)라는 직함을 달고 활동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