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로치 Profile picture
지혜로움에 관심이 많고 solana와 jupiter 그리고 ai에 관심 있습니다. 트윗 글은 시간이 지나면 휘발 되어서 제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생각하게 만드는 글을 씁니다.
Jun 27, 2024 21 tweets 4 min read
최근 에어드랍에 대한건 충분히 생각 못하고 글을 썼네요.

제 글에 대한 오해가 좀 있는거 같기도 하고 에어드랍에 대한 기본적인 부분 + 제 생각을 좀 더 적어보고자 합니다.
다음 레포트를 보면, 에어드랍 이벤트 후 일어나는 움직임을 온체인 데이터로 잘 분석해주고 있는데..dune.com/blog/uni-airdr…
Apr 10, 2024 17 tweets 3 min read
1/ 작전의 핵심은 "누구나" "사고 싶게 만드는 것."

가. 누구나.
- 프로젝트 뒷배를 보는 사람, 차트를 보는사람, 차트중에도 거래량 위주로 보는 사람, 피보나치 보는 사람, 컵핸들 보는 사람, 등등 모두가.. 나. 사고 싶게 만드는 것

- 신규 진입자에게는 사고 싶게 만들고, 기존홀더들에게는 안 팔고 싶게 만드는 것.

- 안팔고 싶은 이유는 근본 프로젝트 라서건, 차트 이유에서건 결국, 가격이 더 올라갈거 같으니까 안팔고 싶게 만드는것.
Jun 30, 2023 10 tweets 3 min read


$BCH 다시 이어가봅니다.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1. 참고로 왼 현물, 우 선물 BCH/USDT 히트맵 입니다.

왼쪽 현물 히트맵에 노란색 체크 표시를 보면 5~12K개 매수벽이 가격 방어를 해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봐야할건, 가격방어 매수벽 그 이하로 가격이 안떨어진다는거고.. 그렇다는 말은 저 매수벽을 부실만한 매도물량을 가진 고래는 없다.라는걸
Jun 26, 2023 4 tweets 2 min read


$BCH 이어가 봅니다. * 현물
1. 26k 매도벽이 빠진후 펌핑

2. 매도벽 뺴고, 바로 움직이기 시작했네요. 19k, 17k 매도벽은 실제로 긁히진 않음. 위아래로 열심히 운전하고 있음.

Jun 24, 2023 9 tweets 3 min read
$BCH

... 부디 잘 대응 하시길..

괜한 말을 했나.. 싶은..

*현물 데이터
1. 보라고래가 물량을 급히 털었는데, 그 평단 위를 상회한다는 말은 던진 보라 고래가 털렸다는 쪽으로 해석하는게 맞음..
2. BCH/USDT
털린 이유는.. 갑자기 갈고가 혜성같이 나타남.. 갈고 매수가 저렇게 치고 나왔길래 규모가 궁금해서 tradinglite 켜봄.

Jun 21, 2023 23 tweets 3 min read
1. 각 시대의 환경과 문화, 기술에 따라 각 시대의 사람들 생활양식은 만들어진다. 그리고, 시대의 환경, 문화, 기술이 바뀌면 사람들 생활양식도 바뀌게 된다. 2. 15세기 구텐베르크 금속활판 인쇄술 > 17세기 유럽의 신문 > 19세기 전신과 전화 > 20세기 라디오와 텔레비전 > 인터넷과 모바일과 같은 정보기술의 발전은 사람들 간의 정보/지식/의견의 공유/교환/소통을 점점 쉽게 만들었고, 그 규모도 점점 확대 시켰으며 그 방식도 상당히 많이 바꾸었다.
May 16, 2023 8 tweets 4 min read
1. 최근 BRC 생태계가 뚝딱뚝딱 꾸려지는걸 보니, 20년 ERC Defi가 생각나서 한번 과거 글을 들쳐봤는데..

"느리고 비싸고 어렵고 불편하고.."

지금 BRC와 비슷한 그림인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또 그때 Defi의 전철을 밟는다면.. 이라는 생각으로 또 다른 글을 들쳐봄.

m.blog.naver.com/ryogan/2220570… Image 2. 아래 또다른 글을 보면 20년 Defi 불장은 코인베이스, 미국 주도라는 것을 알 수 있음.

간략히 정리하자면,
가.미 정부 재무부 산하, 통화감독청 암호화폐 수탁보관업 허가
나. 코인베이스 주도의 디파이 인프라 개발(월렛, 기관 커스터디, 투자, 랜딩서비스)

m.blog.naver.com/ryogan/2220670… ImageImage
Apr 15, 2023 7 tweets 2 min read
1. 상하이 하드포크가 성공적으로 끝났음.

그럼 상하이 일정 다음으로.. 중요한 업그레이드는 뭘까. 2. 상하이 다음으로 의미있는 업그레이드는 "EIP 4844, 프로토 댕크샤딩"이라고 하는게 있음. Image
Apr 15, 2023 8 tweets 1 min read
1. 현실경제가 정말 어렵고, 여러 대기업들도 인원감축을 하며, 고금리가 유지되면서 자산시장에 돈이 들어올수 없는 상황이라며 시장은 하락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2. 시장에 돈이 들어올 수 없을뿐 아니라, 심지어 시장에서 돈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고래들이 개미들에게 자산 물량을 떠넘기고 있다며 경고를 했다.

시장에 유동성이 부족해서 고래들의 놀이터라서 가능하다고 했다.
Apr 5, 2023 13 tweets 5 min read
1. 비트코인이 전통화폐의 불순, 불건전함(?)이나 실물 금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면,

디파이는 전통금융의 불순, 불건전,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음. 2. 중간매개자가 필요없어서 불필요한 절차없이 + 비용 없이 + 언제든지(24/7) 거래 가능.

유동성이 부족하고 접근이 제한된 자산시장에 누구든지 접근할수 있게하여 유동성을 불어넣어주어 쉽게 사고팔수 있음.

모든 거래는 기록되기 때문에 자산 소유권 및 각 종 거래에 대해 신뢰 할 수 있음.
Mar 22, 2023 18 tweets 5 min read
0. m.blog.naver.com/ryogan/2227089… 1. 너무 오래돼서 언제부턴지 모르겠지만.. 수년간 내 핸드폰 배경화면인, 한 이야기 속의 그림이 있다. Image
Mar 13, 2023 22 tweets 12 min read
0. 중국과 미국간 주도권 싸움이라는 기본 뷰로 엮어봄. 팩트를 기본으로 글을 썼지만, 팩트와 팩트 사이 빈공간을 내 생각으로 연결해놓은 글이라.. 얼마든지 틀릴수 있음. 진지하게 보기보단, 적당히.. 재미 위주로 보면 재밌게 볼 수 있을듯 함. 1. 20년 4월, 중국 BSN(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발표.
decenter.kr/NewsView/1Z1NV… Image
Mar 3, 2023 15 tweets 8 min read
1. 옵티미즘의 전신, 플라즈마 그룹은 이더리움 재단과 컨센시스에서 자금을 지원받는 비영리 연구집단이었음.

(참고로 원래 플라즈마 그룹은 이더리움 스케일링 솔루션 중 플라즈마를 연구하는 집단이었는데.. 19년, 돌연 OVM을 발표하며 옵티미즘으로 방향을 선회함.)

decrypt.co/10030/plasma-g… Image 2. 그래서 옵티미즘 팀도 이더리움 재단과 컨센시스, 플라즈마 그룹 출신으로 이루어진듯함.

다음 사진들은 현재 L2 솔루션 플젝들 파운더들과 투자자들을 정리한 자료인데, 옵티미즘을 보면 특히 이더리움 재단과 컨센시스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ImageImageImageImage
Feb 26, 2023 11 tweets 5 min read
1. 코인베이스 뉴스에 대해 아주 큰 흐름이 이어질거라고 생각하고 있음.

이 뉴스를 그냥 $OP의 수혜로만 생각하기에는 너무 뻔한 레드오션 종목이고, 이런 큰 뉴스 뒤에는 당연히 숨은 수혜 종목이 있기 마련임.

내가 생각하고 있는건, 세 프로젝트가 있는데.. 그 중 하나를 소개하고자함. 2. $ENS
ENS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은 먼저, 다음 영상 한번 보고 오시고..
Feb 24, 2023 9 tweets 4 min read
0. 개인적인 생각으로.. 코인베이스에서 아주아주 큰 발표를 하였음.

간단히 말해, Base라는 자체 체인을 만들겠다는 이야기였는데.. 이번 발표 뿐만아니라 지난 코인베이스의 글을 통해 무슨 그림을 그리고 있는지에 대한 내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함. 1. 먼저, 어제 발표한 내용부터 보면..
(coinbase.com/blog/introduci…)

자체체인을 만든 이유는 수십억명의 사용자를 WEB3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라고함. Image
Feb 21, 2023 13 tweets 4 min read
1. 우리는 TVL를 통해 각 생태계에 자금이 얼마나 모이는지 알 수 있고, Activity를 통해 그 돈이 그 생태계 안에서 얼마나 활성화되는지 알 수 있는데.. 2. 보통 체인에 들어온 자금의 목적지는 가지각각 다를수 있지만, 그 목적은 당연히 수익을 내기 위해서일 것임. 그러면.. 그 자금들은 당연하게 그 체인에서 제일 매력적인 투자처를 찾을텐데..
Feb 20, 2023 4 tweets 2 min read
오늘 시장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며칠전까지만 해도 안그랬는데.. 확실히 시장 분위기가 바꼈음.

뇌를 빼놓아야 하는, 17년대 펌핑패턴으로 돌아온거 같음. 합리적인 근거로 접근하면 못먹음. 생각할 시간,여유 안줌.
완전 쌩 투기자본이 주도하는 시장 같은..

중국놈들.. 돈쭐내고 있는듯..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될 것 같음...
Feb 19, 2023 15 tweets 2 min read
1. 과거에 코인투기하던 시절엔 코인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가진 사람들 이야기를 많이 듣곤 했었는데...

코인에 대해 제대로 공부하고 난 후, 그 부정적인 이야기를 안들으지는 좀 오래되었다.

그 이유는.. 하나같이 그저 자기얘기만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2. 우리가 미국 여행을 간다고 했을때, 미국 음식점에서 팁을 주는게 기본이 되고, 그들의 음식이 짜다고 맛이 이상하다고 문제 삼지 않는다.

왜냐하면, 다른 환경에서 만들어진 음식문화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즉 우리와는 다른 세상의 것이기 때문이다.
Feb 18, 2023 15 tweets 4 min read
1. 최근 핫한 Blur와 Opensea를 보면.. 21년 디파이 불장 시절, 유니스왑과 스시스왑이 생각이 난다. 2. 지금도 모든 Dex에서 사용하는 AMM Dex방식을 유니스왑이 처음 만들었는데.. 이 AMM Dex가 없었다면 지금의 Defi는 없었을 정도로 혁신적인 물건이었다.
Jan 23, 2023 13 tweets 2 min read
1. "생각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대로 생각하게 된다." 는 말이 있다.

우리 뇌에는 가소성이라는 특성이 있어서 생각과 행동의 인풋을 집어 넣는대로 우리 뇌는 바뀐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반복하는 행동은 점점 그 행동을 더 하는데 유리하게 우리 뇌는 바뀌고, 2. 우리가 안하는 행동은 점점 안하도록 우리 뇌는 바뀐다고 한다.

우리 생각과 행동에도 관성이 있는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것을 습관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반복된 행동이 점점 강화되어 뇌가 그 반복된 행동을 하는데 편안함을 느끼는 상태..되겠다.
Jan 21, 2023 8 tweets 4 min read


1. 오늘 새로운 구간으로 펌핑이 나왔는데.. 지난 스레드 이후의 데이터를 짚어보자면..

상승하기전 21.3k에서 여러번의 고래 물량이 나왔지만 또다른 주체에게 다 흡수된걸로 보임.

(보통 테스트가 많이 나온만큼 나중에는 딴딴한 지지선이 됨.) Image 2. 그리고, 미장의 움직임을 여전히 아웃퍼폼하고 있기에 자체 크립토 데이터는 여전히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음.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