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쿠하라 쿠니히코의 문제작이자 아직까지도 회자되고 있는 컬트 애니메이션 <소녀혁명 우테나>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도입부는 생략하고, 이번 타래의 제목은 <세 가지 레이어로 읽는 우테나>입니다.
소녀혁명 우테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너무 많이 이야기를 나눴고, 상대적으로 시청하지 않으신 분들이 많을 거라는 생각에 내용을 일일이 짚으면서 이야기하지는 않으려 합니다만, 그래도 스포일러가 포함될 수 있다는 점 미리 양해 구합니다.
도입부는 생략하겠다고 말했지만 그래도 도입부 없이 글을 쓸 수는 없으니 <소녀혁명 우테나>라는 작품을 짚고 넘어가는 시간을 가집시다. <미소녀전사 세일러문>에서 두각을 드러내어 2기부터 총감독(시리즈 디렉터)까지 맡게 된 이쿠하라 쿠니히코는 세일러문의 세계적 흥행에 큰 기여를 합니다.
이 말에 정말 정말, 정말, 정말로 동의해요. 그림만이 아니라 모든 예술에 통용될 수 있는 이야기고요. 저는 작가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어떤 소재를 선택해, 관찰해서, 이야기를 뽑아내는 존재라 생각하거든요. 소재는 작가를 만들고 작가는 소재로 기억되어요.
오늘은 김치 이야기를 해봅시다.
한국인에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면 바로 김치입니다. 김치 문화는 이미 요리의 범위를 초월하여 별개의 카테고리로 독립해나갔다 봐도 무방할 정도로 발달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아는 익숙한 '김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요?
사진 출처 '셔터스톡'
이렇다 할 냉장 시설이 없었던 고대에 채소를 오래 보관하기 위해서 '절임'이라는 개념이 생기는 건 무척 당연했습니다. 서양에서는 소금이나 식초 담근 물에 음식을 절여 '피클'을 만들었고 중국과 한국에서도 이 피클과 유사한(사실상 같은) '저'를 만들어 먹었습니다. 소금물에 절인 채소를 뜻해요.
한국에서는 이런 '저'를 '디히'라고도 불렀습니다. 디히는 곧 '지'로 변했는데요, 지금도 '단무지' '장아찌' '묵은지'와 같은 단어에 '지'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일부 주장에 따르면 '찌개'도 이 '디히'에서 생긴 말이라고 하는데요,
경상도식 김치에 대한 이야기
경상도에서도 간혹 김치에 굴을 넣어 굴김치를 담글 때가 있습니다. 다만 굴의 가격이 비싸다 보니까 김장을 할 때 자기가 상대적으로 아끼는 사람의 김치에 굴을 넣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김치가 왔는데 굴이 들어간 굴김치라면 감사히 여기세요(?)
다만 김치는 집안마다 방식이 다 다르니까, 특정한 집안에만 통용되는 이야기겠지요. 굴을 좋아하는 사람의 집에만 굴김치를 담아준다거나 하는 경우가 충분히 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의 원형들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야자키 하야오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이미 익숙한 이야기들이 많을 거예요. 복습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미야자키 하야오 씨가 자기 좀 그만 팔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리지만 애써 무시해봅니다.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는 두 가지 이야기를 원형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오디세이아>입니다. 칼립소에게 7년간 붙들려 있던 오디세우스는 아테네 여신의 도움을 받아 섬을 빠져나가지만 그 와중에 포세이돈의 분노를 사 또 해일을 만나 표류하게 됩니다.
오디세우스는 파이아케스족이 사는 스케리아 섬에서 알몸이 된 채 눈을 뜹니다. 해변가에서 놀고 있던 젊은 여성들은 낯선 남자가 알몸으로 있는 걸 보고 모두 도망치지만 나우시카만이 초연하게 오디세우스를 대면하여 이야기를 듣고 옷과 음식을 주며 환대합니다.
다음 타래는 드디어 대망의 작품. 제 오랜 근원. 제 오랜 고향. 이쿠하라 쿠니히코 버전의 <은하철도의 밤>, 바로 <돌아가는 펭귄드럼>입니다. 이건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과 달리 어디서 구해 볼 곳도 마땅치 않고 가독성도 좋지 않은 애니메이션이니 이 타래 때문에 보시는 건 비추합니다.
<돌아가는 펭귄드럼>은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소녀혁명 우테나>를 만든 이쿠하라 쿠니히코의 복귀작입니다. <우테나> 이후 ‘함께 하기 어렵단’ 평을 받으며 후원이 끊겼고, 이쿠하라 본인도 애니메이션에 흥미를 잃고 은퇴해버려 오랜 공백기를 가졌죠. 복귀작이란 타이틀만으로 화제가 됐어요.
‘백합’이라는 하위장르를 대중매체에 공식적으로 소개하면서 ‘백합의 아버지’로 거론되기까지 한 이쿠하라 쿠니히코. 사실 이쿠하라는 애니 업계에 돌아오려고 꽤 오래 전부터 노력해왔습니다. 하지만 <우테나> 때 보여줬던 난해한 스타일이 도리어 독이 되어 돌아왔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