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get URL link on X (Twitter) App
일부 유저에게 11/18부터 제한적으로 공개하고 있는 듯. 소개글에는 (1) 질문의 요지를 파악해 검색 잘 하고, (2) 후속 질문을 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됨
https://twitter.com/GoogleDeepMind/status/1990435105408418253학습에 각 지점에서의 local marginal loss를 사용했지만, 전지구적 구조를 가지는 low dimensional global noise를 갖도록 제한했음. 결과적으로 joint term을 학습하지 않아도 global-scale joint skill(전지구적 상관관계가 있는 variability)이 emergent하게 나타남
https://twitter.com/mahler83/status/1978948002544001180매번 설정법을 까먹어서 순서 메모... 이번에도 꼬여서 재설정 두 번이나 함 ㅜㅜ
https://twitter.com/claudeai/status/1978855432123723909ChatGPT에는 custom GPTs, Gemini에는 Gems가 있었는데, Claude에는 마땅히 비슷한 기능이 없었음. 그런데 그걸 뛰어넘는 방식으로 미리 입력된 지침을 "알아서" 적용해주는 방식으로 구현해냈네. GPTs나 Gems를 자동으로 적용해주는 기능으로 보면 대충 맞겠다
https://twitter.com/mahler83/status/1977568010639683984자기가 들을 논문 내용만 만들다가 프로 결제하니까 마음이 너그러워져서 아이것도 만들기 시작함 ㅋㅋㅋㅋㅋ
https://twitter.com/mahler83/status/1975954940305772801

하.... HRM 내용 들으려고 조깅 나갔다가 비 맞고 쫄닥 젖었던 기억이 나서 ㅜㅜㅜㅜ https://x.com/mahler83/status/1951993260874010625
https://x.com/xeophon_/status/1953504619188908074?t=SQUkOkdo39X39T-QbVi2ag&s=19
3가지 다른 성격의 복잡도 영역(complexity regime)이 관찰됨
내생각:
그림으로 된 PDF 자료 활용하기는 Claude가 좋더라. 우편물이 오는 건은 앞으로 계속 관련 내용이 추가될거고 예전 내용 바탕으로 의사결정할 일들이 있는 사안이라 text형태의 project knowledge를 만들었음. 골치아파서 신경쓰기 싫었는데 AI도움받으면 훨씬 수월할것 같아 오히려 다음이 기대됨😆
"자동화가 잘 된 시스템일수록 사람이 할 일이 줄어들고, 사람을 훈련시키는데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간다."
https://twitter.com/AnthropicAI/status/1909626720476365171어디에 쓰는가?
https://twitter.com/mahler83/status/19026897266474111868.1장에서 말하는 스케일의 한계점 중 또 인상깊은 내용은 AGI가 온다면 이 경우 infinite time horizon을 가진다는 것. 즉, 인간이 무한대의 시간을 노력해도 할 수 없는 일을 해냄. 즉, 저 로그스케일에서 선형적으로 보이는 곡선이 어느 타이밍에 무한대로 위로 발산하게 될 것.